본문 바로가기
한국치유음식진흥원/식재료 전문이야기

[식재료_석류]양귀비와 클레오파트라가 즐겨 먹던 석류의 효능을 알아본다

by 한국푸드닥터 2023. 5. 25.
728x90

푸드닥터 한형선 박사의 식재료 이야기

 

밤이 지나고 햇살이 부실 때

빨간 알알의 석류는 웃는데

차가운 별 아래 웃음이 지면서

메마른 가지에 석류 한송이

가을은 외로운 석류의 계절 ~

대중가요 ‘석류의 계절’ 이라는 노랫말의 일부이다. 마치 우리 인생길을 이야기하는 것 같아 이 노래를 들으면 알 수 없는 아련한 슬픔과 잔잔한 그리움이 느껴온다.

 

자연이 뜨겁고 무성했던 여름을 갈무리 하는 계절이 가을이라면, 삶의 가을이라고 하는 중년(갱년기)은 활기차고 정열적이던 젊음을 마무리하고 삶의 완성을 위하여 지혜를 더 해가며 성숙해가는 시간이다. 그러면서도 이시기는 젊었던 장년기를 지나 노년기로 넘어가면서 크게 바뀌는 신체 변화로 인하여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누구라도 삶의 길에서 만나야 하는 시간이지만, 특히, 여성의 경우 심리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면서 더 많이 힘들어한다. 여자로 태어나면 2번의 큰 산을 넘어야 한다고 한다. 첫 번째 산은 출산인데 이때 힘든 고통을 경험하지만 젊은 시절 가족들의 축복 속에서 쉽게 넘는 산이라면, 중년에 넘는 갱년기라는 산은 대부분 자식에게서도 남편에게서도 별다른 도움이 없이 혼자 넘는 외롭고 힘든 산이다.

갱년기 증상을 잘못 관리하면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한다.

 

폐경기란 여성이 더 이상 월경을 하지 않고 임신능력을 상실했을 때를 말한다. 나이가 들면 난소가 노화하면서 배란과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폐경이다.

주로 50세 전후로 폐경기가 되며 개인에 따라서는 이 시기가 빨리 오거나 또는 늦게 올 수도 있다. 이러한 변화는 대개 40대 중ᆞ⦁후반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데, 이때부터 생리가 완전히 없어지고 나서 1년 정도에서 수년까지를 갱년기라고 한다.

그 기간이나 증상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갱년기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생리가 불규칙해지는 것이다. 또한 여성호르몬 결핍에 의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첫 번째, 단기적으로는 상열감, 발한, 안면홍조, 두근거림,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50-85%를 차지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어깨결림 관절의 통증, 피부소양증, 뇨실금과 빈뇨, 외음부의 건조와 위축으로 인한 성생활장애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아울러 골다공증, 치아의 소실 등이 유발된다. 가장 큰 문제는 갱년기 증상을 잘못 관리하면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클레오파트라가 매일 먹었다 고 알려진 것처럼 석류에는 콜라겐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과거에는 갱년기는 질병이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겪고 넘어가야 할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고령화 되면서 인생의 1/3이 폐경기 이후의 삶이 되고 있어, 질병으로 발전되어 고생하는 위험도가 폐경 전에 비해 많이 증가하게 되므로, 건강 측면뿐만 아니라 삶의 질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두 가지 호르몬이 사춘기부터 규칙적인 생리가 나오게 하면서 여성으로서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게 해 주다가 이 호르몬이 줄어들면서 갱년기가 찾아오게 되므로, 호르몬 보충요법은 다양한 폐경 증상을 완화시키고 비뇨생식기계의 위축을 예방하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막아주는 데 효과적이어서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 화학호르몬요법제를 장기간 투여했을 경우 자궁암, 유방암, 혈전, 심장마비, 뇌졸중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후 합성호르몬을 대체할 수 있는 석류주스, 승마, 대두(콩), 당귀, 레드클로버 등 안전성·유효성이 확보된 천연물대체호르몬요법제의 관심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 중에 석류는 세계적으로 천연대체요법제로 연구되고 있는 여성호르몬이 포함되어 있는 지상식물 중 여성 호르몬과 유사한 성분인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가장 많아 여성에게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석류에는 에스트로겐 3종(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식물성호르몬 대체요법제로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다.

석류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 폐경 전후 갱년기 여성에게 석류자체나 착즙 또는 석류씨오일, 석류추출물 등을 꾸준히 복용하게 하였을 때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증가하면서 갱년기에 주로 겪고 있는 불만스러운 증상인 상열감과 안면홍조, 우울증¹ 뿐 만아니라 치료하기 어려운 비뇨생식기 쪽의 질 건조, 질 상피 위축증상 치료 등을 포함하여, 골밀도 보존치료²⁻³ 까지 다양한 갱년기 증상에서 효능⁴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석류에 함유된 안토시아닌과 라이코펜은 혈관 건강 및 남성 전립선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매와 껍질 모두 고혈압⦁동맥경화⦁고지혈증 예방에 좋으며, 한 연구에서는 석류주스 50ml를 꾸준히 마실 때 수축기 혈압을 낮추고 경동맥협착증과 죽상경화증, 심장질환을 예방하고 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⁵⁻⁸

클레오파트라가 매일 먹었다고 알려진 것처럼 석류에는 콜라겐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상처치유와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⁹. 특히 껍질에는 수렴작용이 있는 탄닌 성분이 많아 이질⦁설사에 약효가 뛰어나고¹⁰,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어 기생충, 특히 조충구제작용이 크다¹¹ 올리브유와 섞어 변비에 좋은 오일을 만들기도 한다.

 

양귀비와 클레오파트라가 즐겨 먿건 석류

석류는 약용식물로 페르시아와 주변국가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한국에는 중국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석류는 안에 많은 씨가 들어 있고 흡사 여성의 난소의 형상을 하고 있어 예로부터 다산의 상징이 되기도 하여왔다.

주요 성분은 당질(포도당·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껍질에는 주로 탄닌이 있으며, 석류의 대표적 생리활성물질인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엘라그산과 같은 항산화⦁항염증 작용을 하는 물질¹² 등이 과피와 씨앗(씨앗을 싸고 있는 막포함)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석류의 과육뿐만 아니라 과피와 씨앗까지 모두 활용하는 것이 좋다.

 

좋은 석류를 고르고 먹는 방법

 

좋은 석류를 고르고 먹는 방법

 

석류는 들어 보았을 때 무겁고 선명한 붉은색을 고른다. 외피가 단단하고 상처가 적게 난 것이 좋다. 석류에는 비타민A가 없으므로 비타민A가 풍부한 당근, 양배추, 케일, 토마토 등과 같이 착즙하여 주스로 마시면 더 좋다.

 

석류에는 비타민A를 제외한 다양한 비타민과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갱년기 장애 이외에도 감기에 효능이 있다. 석류의 씨앗을 싸고 있는 막에 주로 천연 에스트로겐 호르몬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씨앗을 싸고 있는 막까지 생으로 먹기도 하지만 차나 착즙하여 마시는 것이 좋다.

 

석류에는 비타민A를 제외한 다양한 비타민과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평상시 일광욕과 가벼운 운동을 꾸준히 하며 체력을 관리하고, 주변 사람들과 자주 대화를 나누는 등 생활 습관을 가지는 것이 여성들의 갱년기 건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갱년기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여성이라면 누구라도 삶의 길에서 만나야 하는 시기이지만, 건강하고 활기찬 갱년기와 건강한 노후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비와 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가을은 외로운 석류의 계절’ 이 아니라, ‘석류는 외로운 가을의 과일’이며, 성숙해가는 인생의 가을을 더 아름답고 젊게 만들어 주는 동반자 석류가 익어가는 계절이 가을이다.

 


[참고자료]

1) Int J Mol Sci. 2017 Dec 19;18(12). pii: E2643. doi: 10.3390/ijms18122643.

Aqueous Extract of Pomegranat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italopram

Produces Antidepressant-Like Effects in an Animal Model of Menopause:

Participation of Estrogen Receptors

2) Ethnopharmacol. 2004 May;92(1):93-101.

Pomegranate extract improves a depressive state and bone properties in

menopausal syndrome model ovariectomized mice

3) Daru. 2014 Nov 20;22:72. doi: 10.1186/s40199-014-0072-7.

Osteogenic potential of punica granatum through matrix mineralization, cell cycle progression and runx2 gene expression in primary rat osteoblasts.

4) J Obstet Gynaecol Res. 2018 Jun;44(6):1087-1091. doi: 10.1111

Effect of pomegranate extract on vagina, skeleton, metabolic and endocrine profiles in an ovariectomized rat model

5) Atherosclerosis. 2001 Sep;158(1):195-8.

Pomegranate juice consumption inhibits 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and reduces systolic blood pressure. Aviram M1, Dornfeld L.

6) J Agric Food Chem. 2006 Mar 8;54(5):1928-35.

Pomegranate by product administration to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attenuates atherosclerosis development as a result of decreased macrophage

oxidative stress and reduced cellular uptake of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7) J Nutr Biochem. 2015 Oct;26(10):1015-21.

High intrinsic aerobic capacity and pomegranate juice are protective against

macrophage atherogenecity: studies in high- vs. low-capacity runner (HCR vs. LCR) rats.

8) J Mater Sci Mater Med. 2015 May;26(5):181. doi: 10.1007

Prepar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Punica granatum pericarp aqueous extract loaded chitosan-collagen-starch membrane: role in wound healing process.

9) J Mater Sci Mater Med. 2015 May;26(5):181. doi: 10.1007/s10856-015-5515-2.

Prepar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Punica granatum pericarp aqueous extract

loaded chitosan-collagen-starch membrane: role in wound healing process.

10) Pillai NR et. al.(1992) Int. J. Pharmacogen. 30, 201

11) Tripathi SM, Singh DK(2000) Braz. J. Med. Biol. Res. 33: 1351-1355

12) Carcinogenesis. 1996 Feb;17(2):265-9.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of the dietary anticarcinogen ellagic acid.


[상담문의]

한국푸드닥터/모자연약국

043-848-1100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중앙탑길 145

 


아래의 링크는 한국푸드닥터의 공식 웹사이트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